ㄴ/건설 이론4 커튼월(Curtain wall) 공법과 커튼월룩(Curtain wall look) 공법 커튼월(비내력 외주벽)이란 구조재처럼 많은 하중을 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피막 같은 칸막이의 역할을 주로 한다.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 역할이 있다고 해서 커튼과 월이 합성되어 커튼월이 되었다. (Curtain + wall) = Curtain wall 커튼월 공법은 주로 고층 건물에서도 많이 볼 수 있으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세련되고 현대적인 외관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구조체에 쓰이는 콘크리트나 벽돌 외장재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외벽 패널을 조립하는 공법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많은 가설재가 필요하지 않아 재료비, 인건비, 공기 단축등으로 비용적인 절감이 가능하다. **커튼월의 장.. 트러스 구조 트러스 구조란 직선의 부재를 삼각형 그물 모양으로 뼈대나 구조를 만든 형태이다. 안전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보나 골조 등 하중을 받는 구조물이나 교량에 사용된다. 트러스의 특징 중 하나는 아래 그림과 같이 모든부재가 휘지 않도록 절점이 마찰이 없는 힌지로 이루어져있어 휨이나 전단력이 생기지않고 인장력과 압축력만 받는다. **인장력 : 물체를 늘어 뜨리거나 잡아 당기거나 하는 작용. 인장하는 힘. 압축력 : 물질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그 부피를 줄이는 힘. (누르는 힘) 위 그림을 보면 힘의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있는데 상단 꼭지점에 힘은 접해있는 빗면 부재를 따라 힘이 전달되고, 분산된 힘이 아래 삼각형 변을 따라 힘이 전달되면서 빗면에는 압축력이, 수평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쉬운 예시로.. 조적공사- 벽돌 종류 및 규격, 벽돌 쌓기, 물량 산출 건축에서 쓰이는 벽돌은 대표적으로 적벽돌과 시멘트 벽돌이 있다. 흔히 적벽돌로 부르는 것의 표준 용어는 점토벽돌이다. 적벽돌은 흙을 주재료이며 건물에서 하중을 받는 구조재보다는 외부를 치장하는 마감재의 역할을 주로하고, 콘크리트 벽돌은 시멘트와 모래, 자갈 등을 물로 반죽하여 압축 성형하여 굳힌 것이며, 건물 내부의 벽체 등의 구조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업규격 *(KS F4004의 경우) 벽돌의 외관치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90 × 90 × 57mm(허용오차 ±2.0mm) *내화벽돌 경우는 230 x 114 x 65 여기서 벽돌로 벽을 쌓았을때 아래와 같이 예를 들 수 있다. 0.5B = 90mm 1.0B = 190mm(벽돌90+몰탈10+벽돌90) 1.5B = 290.. 건폐율과 용적률 건설에서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알아보겠다. 건폐율 = 건물의 바닥면적이 토지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 예를 들자면 100평의 토지에 바닥의 면적이 60평 되는 건물을 짓는다면 이 토지 대비 건물의 건폐율은 60% 용적율 = 토지 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 *연면적이란 건축물 바닥의 면적을 모두 더한 합계 ( 중요한 것은 용적율에서 말하는 연면적은 치하층을 제외한 지상층 바닥 면접의 합이라는 점) 예를 들어 100평의 땅 위에 건폐율 50% 4층짜리 건물을 지었다면 각 바닥면적의 합계 = 연면적이 200평 용적율의 경우 200% 이해를 돕기위해 건폐율과 용적률을 잘 나타내는 그림을 그려보았다. ---------------------------------------------------.. 이전 1 다음 반응형